반드시 합격하는 수시지원 플랜A/플랜B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14-08-25 14:55 조회3,08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학생부 교과 성적 1등급대, 학생부 성적과 모의고사 성적 모두 우수 학생부 교과 성적이 1등급대인 상위권 수험생의 경우에는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연세대 학생부교과, 고려대 학교장추천, 서강대 학생부교과 등의 최상위권 대학의 학생부 교과 중심 전형 지원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받은 학생부 교과 성적이 1등급에 수렴하고 모의고사 성적도 우수하다면, 어설픈 하향 지원 보다는 과감한 지원을 결정하고 원서접수를 마친 이후에는 수능 공부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사례 1 | ||||||||||||||||||||||||
사례 2
|
학생부 교과 성적 2등급대, 학생부 성적 < 모의고사 성적 학생부 교과 성적이 2등급대인 경우, 학생부 성적보다 모의고사 성적이 더 좋다면 정시 지원을 염두에 두고 수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남들보다 특별한 비교과가 있거나 논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수시의 해당 전형에 지원하되 그 외에는 수능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수능 성적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이 수시에 소모되는 노력 보다 나으므로 본인의 수능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기 때문이다. 준비되지 않은 학생부 종합 전형이나 논술 전형에 포커스를 맞추다 보면, 자칫 수능 실력까지 하락할 수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논술 전형에 지원하고자 한다면, 수능 공부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수능 이후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에 중점적으로 지원해 보는 것이 좋다. 사례 3 | ||||||||||||||||||||||||
사례 4
|
학생부 교과 성적 2등급대, 학생부 성적 > 모의고사 성적 학생부 교과 성적이 2등급대 혹은 그 이하인 경우, 학생부 성적이 모의고사 성적보다 좋다면 본인의 눈높이보다 다소 낮은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좋다. 해당 성적대에서는 보다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학교생활기록부이다. 따라서 본인의 학교생활기록부를 면밀히 분석해 보고, 그 이후 지원전략을 고민하는 것이 맞다. 내가 가진 잠재요소를 부각 시킬 수 있다면 학생부 종합 전형에 고려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고, 논술에 자신이 있다면 논술 전형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지만, 학생부 성적보다 낮은 모의고사 성적을 실전 수능에서는 보완해야 한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의 충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정시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도 반드시 수능은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어떤 전형을 지원하더라도 새롭게 시작하는 것보다 본인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부각 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남은 시간 동안 수능 점수 향상을 목표로 삼는 것이 좋다. 사례 5 | ||||||||||||
|
수능/학생부 성적대별 수시 지원 플랜 학생부 교과 성적이 2등급대 혹은 그 이하인 경우, 학생부 성적이 모의고사 성적보다 좋다면 본인의 눈높이보다 다소 낮은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좋다. 해당 성적대에서는 보다 다양한 전략이 필요한데,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학교생활기록부이다. 따라서 본인의 학교생활기록부를 면밀히 분석해 보고, 그 이후 지원전략을 고민하는 것이 맞다. 내가 가진 잠재요소를 부각 시킬 수 있다면 학생부 종합 전형에 고려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고, 논술에 자신이 있다면 논술 전형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지만, 학생부 성적보다 낮은 모의고사 성적을 실전 수능에서는 보완해야 한다는 점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의 충족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정시에 대한 준비를 위해서도 반드시 수능은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어떤 전형을 지원하더라도 새롭게 시작하는 것보다 본인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을 부각 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남은 시간 동안 수능 점수 향상을 목표로 삼는 것이 좋다. | |||||||||||||||||||||
|